
목차1. 들어가기전에2. 털게의 특징3. 털게의 종류4. 털게의 천적5. 털게 꿈해몽6. 끝맺음들어가기전에겨울 바다를 대표하는 별미, 바로 '털게(Horsehair Crab)'에 대해 이야기하려 합니다.털게는 '에리마크루스 이젠베키이(Erimacrus isenbeckii)'라는 학명을 가진 갑각류로, 등딱지를 뒤덮은 촘촘한 털과 달콤한 맛으로 유명합니다.주로 오호츠크해-베링해-동해 연안에 분포하며, 일본 홋카이도·러시아 캄차카·우리나라 동해 북부 연안에서 많이 잡힙니다.털게는 저서성(바닥 생활)으로, 수심 20 ~ 200 m 의 모래·자갈 지대에 서식하며, 플랑크톤·소형 저서생물을 먹고 자랍니다.친숙한 식재료이자 지역 어업의 경제적 핵심 종이지만, 동시에 해저 생태계에서 먹이망의 중요한 연결 고리 역할을..

목차1. 들어가기전에2. 대게의 특징3. 대게의 종류4. 대게의 천적‧생태5. 대게 꿈해몽6. 끝맺음들어가기전에겨울 바다의 진미로 손꼽히는 '대게(Snow Crab, Chionoecetes opilio)'를 소개합니다.대게는 동해 북부의 차가운 심해에서 잡히는 갑각류로, 눈처럼 하얗고 달큼한 살과 길게 뻗은 다리가 특징입니다.한국 동해안·러시아 연해주·일본 해역에서 주로 어획되며, 겨울(11 월 ~ 3 월)이 제철이라 국내 미식가들의 사랑을 듬뿍 받아왔죠.대게는 어획 규모가 관광·지역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주어 울진·영덕·강구 항이 ‘대게 축제’로 유명합니다.지금부터 대게가 지닌 생태·유형·문화적 의미까지 살펴보며, 왜 ‘겨울 바다의 왕’이라 불리는지 알아보겠습니다.대게의 특징대게는 몸통보다 다리가 길어..

목차1. 들어가기전에2. 갈게의 특징3. 갈게의 종류4. 갈게의 천적5. 갈게 꿈해몽6. 끝맺음들어가기전에갯벌의 숨은 주역, '갈게(Helice tridens tientsinensis)'를 소개합니다. 갈게는 갯벌에 촘촘히 뚫린 굴(巢)을 열심히 드나들며, 우리 연안 생태계에 활력을 불어넣는 대표적 반(半)육상 게입니다. 일본·한반도 서해안·황해 일대의 갯벌과 기수(汽水) 환경에 주로 서식하며, 성체는 갑폭 3~4 cm 정도로 다부진 외형을 자랑합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0]{index=0}갈게는 표면이 납빛을 띠는 단단한 껍데기와 좌우 대칭의 집게발이 특징입니다. 갯벌 생태계에서 퇴적물 교란·유기물 분해·먹이망 연결 등 다층적 역할을 수행하며, 연안 습지 보전의 지표종으로도..

목차1. 들어가기전에2. 야자집게의 특징3. 서식지와 분포4. 먹이와 천적5. 야자집게 꿈해몽6. 끝맺음들어가기전에오늘은 야자집게(Coconut crab, Birgus latro)를 이야기하려 합니다. ‘야자집게’라는 이름처럼 이 거대한 갑각류는 코코넛을 깨는 괴력을 지닌, 지상 최대의 절지동물입니다.야자집게는 ‘로버 크랩(Robber crab)’·‘팜 시프(Palm thief)’라는 별칭을 갖고 있으며, 호기심 많고 힘이 세서 반짝이는 물건을 훔쳐 가는 행동으로 유명합니다.열대섬 생태계에서 분해자·과일 확산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 생태·행동은 진화·환경 적응 연구의 흥미로운 사례를 제공합니다.지금부터 야자집게의 신체 구조, 생활사, 그리고 인간과의 관계까지 차근차근 살펴보겠습니다.야자집게의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