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1. 들어가기전에2. 검은테베짱이의 특징3. 검은테베짱이의 분류4. 검은테베짱이의 천적5. 검은테베짱이 꿈해몽6. 끝맺음들어가기전에오늘은 한국과 일본의 숲·초지에서 울음소리로 존재감을 드러내는 여치과 곤충, ‘검은테베짱이(Psyrana japonica (Shiraki, 1930))’를 소개합니다. 본 종은 메뚜기목(Orthoptera) > 여치과(Tettigoniidae) > 검은테베짱이속(Psyrana)에 속하며, 1930년 일본 곤충학자 Shiraki가 처음 기재했습니다.검은테베짱이는 한반도(특히 제주도)·일본·중국·인도차이나 등 동아시아‑남아시아권에 분포하며, 숲 가장자리나 키 작은 관목 지대의 잎사귀 위에서 야행성 생활을 합니다.생태계에서는 식물성 잎·꽃·작은 절지동물을 섭취하며 먹이망의 중간..

목차1. 들어가기전에2. 쌕쌔기의 특징3. 쌕쌔기의 종류4. 쌕쌔기의 천적5. 쌕쌔기 꿈해몽6. 끝맺음들어가기전에여름 밤 풀숲에서 ‘쌕쌕’ 맑은 현악 소리를 들려주는 ‘쌕쌔기(Conocephalus chinensis)’에 대해 이야기하려 합니다.쌕쌔기는 긴머리여치과(Tettigoniidae, 일명 칼새여치과) 콘헤드여치속 Conocephalus에 속하는 곤충으로, 한국·중국·일본 등 동아시아 들녘에서 흔히 만날 수 있습니다.수컷이 날개를 비벼 만드는 초고음 연주는 늦여름에서 초가을까지 이어지며, 논두렁·하천 제방·초지 생태계의 특색 있는 사운드스케이프를 형성합니다.그러나 농경지 집약 관리, 제초제·살충제 사용, 불빛 공해로 서식지가 축소되면서 개체 수가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지금부터 풀잎 바이올리..

목차1. 들어가기전에2. 왕귀뚜라미의 특징3. 왕귀뚜라미와 가까운 종4. 왕귀뚜라미의 천적5. 왕귀뚜라미 꿈해몽6. 끝맺음들어가기전에오늘 소개할 주인공은 밤의 음악가라 불리는 ‘왕귀뚜라미(Teleogryllus emma)’입니다.왕귀뚜라미는 집귀뚜라미과(Gryllidae)에 속하는 곤충으로, 크고 맑은 울음소리 덕분에 한국·일본·중국 등 동아시아 전역에서 친숙한 존재입니다.특유의 ‘치익치익’ 합창은 늦여름부터 가을까지 들을 수 있으며, 전통문화·음악·문학 속에서도 자주 등장해 왔습니다.그러나 농촌·도심 생태계의 변화, 농약 사용 증가, 서식지 축소로 개체 수가 점차 줄어들고 있어 보전 관심종으로 언급되곤 합니다.지금부터 왕귀뚜라미의 매혹적인 생활사와 생태적 가치를 살펴보며, 우리가 어떻게 이 작은 음악가..

목차1. 들어가기전에2. 긴날개밑들이메뚜기의 특징3. 관련 종·아종4. 천적과 위협5. 메뚜기 꿈해몽6. 끝맺음들어가기전에오늘은 한국·일본·타이완 등 동아시아에 사는 초록빛 메뚜기, 긴날개밑들이메뚜기(Ognevia longipennis)를 소개합니다.이 종은 초장이 길고 적갈색 앞날개가 배 끝을 훌쩍 넘는 것이 특징이며, ‘밑들이메뚜기’ 무리 가운데에서도 가장 긴 날개를 자랑합니다.산지·들녘의 풀숲을 날아다니며 잎·줄기를 갉아먹어 농작물 피해를 일으키기도 하지만, 생태계 먹이사슬에서 중요한 초식 곤충이기도 합니다.그럼, 작은 체구에 숨은 생태·형태·문화적 매력을 살펴보겠습니다!긴날개밑들이메뚜기의 특징● 학명 : Ognevia longipennis (Shiraki, 1910) — 메뚜기과(Acridid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