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1. 들어가기전에2. 참거머리의 특징3. 참거머리 및 친족 거머리 종류4. 참거머리의 천적5. 거머리 꿈해몽6. 끝맺음들어가기전에오늘은 동아시아 전통 의학에서 ‘수질(水蛭)’로 귀하게 쓰여 온 참거머리(Hirudo nipponica)에 대해 이야기합니다.참거머리는 환형동물문‧거머리강‧왕거머리과에 속하는 혈액흡입성 거머리로, 한국·일본·중국·러시아 극동 등 동아시아 담수에 분포합니다.고대 의서에 기록될 만큼 오랜 약용 역사를 지니며, 현대 연구에서도 강력한 항트롬빈·항응고 효능이 확인돼 순환기계 질환 보조치료에 쓰이고 있죠.그럼, 작은 몸집 속에 숨은 놀라운 생리·생태·약리학적 매력을 함께 탐구해 보겠습니다!참거머리의 특징● 학명 : Hirudo nipponica● 크기 : 성체 길이 10–18 cm,..

목차1. 들어가기전에2. 산골플라나리아의 특징3. 산골플라나리아의 분류4. 산골플라나리아의 천적5. 산골플라나리아 꿈해몽6. 끝맺음들어가기전에알려진 것보다 훨씬 신비로운 체질을 가진 민물 평형동물, 바로 '산골플라나리아(Phagocata vivida (Ijima & Kaburaki))'를 소개합니다.산골플라나리아는 평형동물문 삼모충강(Tricladida)에 속하는 플라나리아류로, 자연 재생 능력의 대명사로 불리죠.주로 한국·일본 산악 계곡의 청정 담수에 서식하며, 섬세한 수서 생태계에서 분해자 겸 미세 포식자 역할을 담당합니다.몸길이 1 ~ 1.5 cm의 길쭉한 형태와 반투명 연갈색 바탕에 비단처럼 빛나는 vivid(鮮明) 색조가 특징입니다.탁월한 재생성, 독특한 사냥 방식, 그리고 자웅동체 번식 전략은..

목차1. 들어가기전에2. 두줄달팽이의 특징3. 두줄달팽이의 분류4. 두줄달팽이의 천적5. 두줄달팽이 꿈해몽6. 끝맺음들어가기전에오늘은 육지 민달팽이 가운데 길고 가느다란 두 줄 무늬로 유명한 '두줄달팽이(Limax marginatus (Müller))'를 소개합니다.두줄달팽이는 껍데기가 퇴화한 연체동물 복족강에 속하며, 점액을 이용한 독특한 이동 방식과 습성으로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숲 바닥의 낙엽층과 정원처럼 습한 환경에서 주로 발견되며, 유기물을 분해해 토양 순환을 돕는 자연의 작은 청소부라 할 수 있죠.두 줄로 이어진 연갈색 세로무늬는 종을 구분하는 결정적 단서이며, 야행성 활동과 자웅동체 번식 전략 또한 흥미로운 관찰 포인트입니다.이 글을 통해 두줄달팽이의 생태학적 가치, 특징, 천적,..

목차1. 들어가기전에2. 작은뾰족민달팽이의 특징3. 분포와 서식지4. 피해·생태적 역할·천적5. 민달팽이 꿈해몽6. 끝맺음들어가기전에오늘은 텃밭·농경지·정원에서 흔히 마주치는 ‘작은뾰족민달팽이( Deroceras reticulatum (Müller) )’를 살펴보려 합니다.이 종은 민달팽이과(Agriolimacidae)에 속하는 육상 연체동물로, 껍데기가 퇴화해 점액질 피부만이 외부 환경을 방어합니다.작은뾰족민달팽이는 세계 여러 지역에서 심각한 농업 해충으로 악명이 높지만, 동시에 토양 분해·영양 순환에 기여하기도 합니다.최근 기후 변화·글로벌 농산물 유통 확대 탓에 분포권이 넓어지고 있어, 종합적 이해와 친환경 관리법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작은뾰족민달팽이의 특징몸길이는 성체 기준 30 – 45 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