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1. 들어가기전에2. 알락굴벌레나방의 특징3. 아종과 분포4. 천적·피해·관리5. 알락굴벌레나방 꿈해몽6. 끝맺음들어가기전에알락굴벌레나방(Zeuzera multistrigata)은 나비목 굴벌레나방과(Cossidae)에 속하는 목질부 천공 해충으로, 유충이 나무 줄기·가지·뿌리에 파고들어 양수분 이동을 방해해 고사·도복을 일으킵니다. 한국을 포함한 동아·남아시아 전역에 분포하며, 임목·과수·차나무·해안 방풍림(예: Casuarina) 등 다양한 숙주에서 문제가 됩니다. 국내 표준 국명과 분류 정보는 국립생물자원관에, 광역 분포와 형태 정보는 문헌으로 정리돼 있습니다.알락굴벌레나방의 특징성충은 흰색 바탕에 검푸른 점무늬가 흩뿌려진 날개가 특징이며, 암컷은 수컷보다 크고 날개폭 약 70 mm, 수컷은 약..

목차1. 들어가기전에2. 끝동매미충의 특징3. 발생 시기와 생활사4. 천적과 생태적 억제5. 방제·관리(IPM) 핵심 10가지6. 끝맺음들어가기전에오늘은 논벼의 대표적 흡즙 해충이자 바이러스 매개충인 끝동매미충(Nephotettix cincticeps), 일명 rice green leafhopper를 알아봅니다. 이 곤충은 벼의 수액을 빨아 직접 피해를 주는 것보다, 벼오갈병(=벼 위축병, Rice dwarf disease)을 옮기는 점이 특히 문제입니다. 분포는 한국·일본 등 동아시아에 널리 보고되며, 국내에서는 남부 위주로 발생이 관찰됩니다.끝동매미충의 특징분류 노린재목(Hemiptera) 매미충과(Cicadellidae). 성충은 연녹색이며, 수컷은 전시(앞날개) 끝 부분이 어둡게 보일 수 있습니다..

목차1. 들어가기전에2. 다색캥거루잎벌레의 특징3. 색 변이와 유사종4. 천적과 방어5. 다색캥거루잎벌레 꿈해몽6. 끝맺음들어가기전에다색캥거루잎벌레(Sagra femorata)는 반짝이는 금속광택과 튀어나온 뒷다리로 유명한 잎벌레과(Chrysomelidae) 곤충입니다. 수컷의 과장된 뒷다리는 개구리 다리를 닮아 영어권에서 ‘frog-legged leaf beetle’로도 불립니다. 동남아시아의 습윤한 숲과 덩굴식물 주변에서 흔히 관찰되며, 번식기에는 여러 개체가 한 식물에 모여 생활하기도 합니다.성충의 몸길이는 자료에 따라 약 20 mm 내외로 보고되며, 최대 3 cm까지 언급되는 경우도 있습니다(지역·표본 차). 무엇보다 성적 이형(sexual dimorphism)이 뚜렷해 수컷은 암컷보다 크고 뒷다..

목차1. 들어가기전에2. 수염풍뎅이의 특징3. 수염풍뎅이의 분류(아종·이명)4. 수염풍뎅이의 천적5. 수염풍뎅이 꿈해몽6. 끝맺음들어가기전에이번에는 우리 토종 딱정벌레 가운데 존재감이 큰 수염풍뎅이(Polyphylla laticollis manchurica Semenov, 1900)를 소개합니다. 풍뎅이과(Scarabaeidae) 검정풍뎅이아과(Melolonthinae)에 속하며, 수컷의 부채살 같은 겹가지 더듬이(라멜라)가 특히 돋보입니다. 분포는 동아시아(중국·한반도·일본)로 알려져 있고, 국내에서는 과거 전국에서 기록되었으나 현재는 법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매우 드물게 관찰됩니다. 최근 연구에선 금강·미호강 수계에서 성충과 유충 서식 흔적이 보고되었습니다.아래에서는 형태·생활사, 분류와 이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