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반응형

끝동매미충(rice green leafhopper)
끝동매미충(rice green leafhopper) 특징,서식지,종류,천적,수명,몸무게,꿈해몽

들어가기전에

오늘은 논벼의 대표적 흡즙 해충이자 바이러스 매개충인 끝동매미충(Nephotettix cincticeps), 일명 rice green leafhopper를 알아봅니다. 이 곤충은 벼의 수액을 빨아 직접 피해를 주는 것보다, 벼오갈병(=벼 위축병, Rice dwarf disease)을 옮기는 점이 특히 문제입니다. 분포는 한국·일본 등 동아시아에 널리 보고되며, 국내에서는 남부 위주로 발생이 관찰됩니다.

반응형

끝동매미충의 특징

분류 노린재목(Hemiptera) 매미충과(Cicadellidae). 성충은 연녹색이며, 수컷은 전시(앞날개) 끝 부분이 어둡게 보일 수 있습니다. 주 서식·기주는 논벼와 둑의 화본과 잡초(예: 뚝새풀) 등입니다. 무엇보다 벼오갈병(RDV)의 주요 매개충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피해 증상은 초기엔 흡즙으로 인한 생육 저하와 그을음병(배설물 유발)이며, 밀도가 높거나 바이러스가 개입되면 왜화·분얼 증가·잎의 짧아짐·이삭 피해·임실률 저하·이삭·잎의 변색까지 이어져 수량 감소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발생 시기와 생활사

  • 발생 세대: 연 4~5회 발생. 주로 3~4령 약충(특히 4령) 상태로 논둑·밭둑·제방의 잡초에서 월동합니다.
  • 산란·발육: 성충은 봄 우화 후 둑의 뚝새풀 등에 산란하고, 여기서 자란 성충이 못자리·본답으로 이동합니다. 알은 엽초 내부에 3~20개 무더기로 낳으며, 세대·시기별 알·약충 기간이 다릅니다(예: 월동세대 알 약 20일, 2세대 알 약 14일 등).
  • 발생 최성기: 대체로 4월 하·6월 하·7월 중하·8월 하~9월 상. 이후 발생 약충은 9월 하부터 휴면에 들어갑니다.
  • 예찰: 볏대 부착 성충·약충의 육안 조사 또는 포충망 30회 쓸어담기로 밀도를 파악합니다.
  • 바이러스 매개: 벼오갈병(RDV)은 매개충 체내에서 증식하고, 경란전염(모체→자손)이 가능해 조기 비래 성충의 방제가 핵심입니다.
반응형

천적과 생태적 억제

논 생태계에는 끝동매미충을 자연적으로 억제하는 천적이 풍부합니다. 대표적으로 늑대거미·거미줄거미류(예: Pardosa pseudoannulata, Pirata subpiraticus, Tetragnatha spp.)가 성충·약충을 포식하고, 알기생봉 Paracentrobia andoi, Anagrus spp.가 알을 기생합니다. 광범위 살충제 남용은 이들 천적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합니다.

반응형

방제·관리(IPM) 핵심 10가지

1. 초기 비래 성충 차단

  • 이앙 직후 유입되는 보독 성충이 주요 감염원입니다. 지역 예찰 정보에 맞춰 초기에 집중 관리합니다.

2. 제초·기주제거

  • 논둑·제방의 뚝새풀 등 벼 바이러스 저장·번식처가 되는 화본과 잡초를 제거합니다.

3. 파종·이앙 동시화 & 휴경기간 확보

  • 지역 재배시기 동시화논 벼 비재배 기간 확보로 세대 연결과 바이러스 지속을 끊습니다.

4. 저항성 품종 활용

  • 지역에서 보급되는 끝동매미충/오갈병 저항성 품종 정보를 확인해 우선 적용합니다.

5. 못자리 단계 차단

  • 못자리 망·점착트랩 등으로 비래 성충을 줄이고, 묘반 주변 기주잡초를 제거합니다. (지역 지침 준수)

6. 예찰 기반 선택적 약제

  • 밀도와 피해 위험이 높을 때만 표적 살충제를 사용합니다. 광범위 합성피레스로이드 남용은 거미류 등 천적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지양합니다.

7. 출수기 관리

  • 밀도가 높으면 출수기 이삭 흡즙·변색·임실 저하가 증가하므로, 필요 시 희석제 경엽살포를 고려합니다. (지역 권장 약제·시기 준수)

8. 천적 보전

  • 살충제 회피·감소, 야간 살포 등으로 거미류·알기생봉의 피해를 최소화합니다.

9. 병해 연계 관리

  • 오갈병(RDV) 증상(분얼 과다·왜화·짧고 짙은 녹색 잎·미세 황백반점)을 조기에 확인하고 의심 포기는 표식을 하여 면밀히 관찰합니다.

10. 지역 방제정보 활용

  • 농촌진흥청·지자체의 발생 예찰 및 약제 정보를 수시로 확인해 시기·대상을 정확히 맞춥니다. (예: 포충망 30회 조사 기준 등 지역지침)
반응형

끝맺음

끝동매미충은 직접 흡즙 피해보다 오갈병(RDV) 매개로 인한 수량·품질 손실이 큰 해충입니다. 초기 비래 성충 차단, 기주잡초 관리, 재배시기 동시화, 저항성 품종, 예찰 기반 선택 방제, 천적 보전을 결합한 통합적 관리(IPM)가 피해 최소화의 핵심입니다. 지역 예찰과 현장 지침을 적극 활용해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방제를 실천하세요.

반응형
반응형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링크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